안녕하세요, 장미입니다.
지금까지 창업에 필요한 자금 구조에 대해 많이 이야기했죠.
지원금, 대출, 펀딩… 이론은 알겠는데, 막상 “그래서 지금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뭐냐고?”라는 현실적인 질문에 딱 맞는 답을 찾기 어려우셨죠? 수많은 정책 정보가 넘쳐나는데, 대부분은 어렵고, 길고, 복잡하고, 자격도 안 되는 내용 투성이예요.
그래서 오늘은 정말 쓸 수 있는 것만 골라내는 방법, 즉 2025년 창업자라면 꼭 활용해야 할 정부 사이트와 필터링 방법을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드릴게요.
창업 관련 정부 사이트, 이렇게 나뉘어요
우선 ‘정부지원금’이나 ‘정책자금’을 검색하면 다양한 기관 사이트가 쏟아져 나옵니다.
그런데 그중에서도 창업자가 꼭 기억해야 할 사이트는 딱 4곳입니다.
사이트명 | 역할 | 주요 대상 |
K-Startup (www.k-startup.go.kr) | 전국 단위 창업지원사업 총망라 | 예비창업자, 초기 창업자 |
소상공인마당 (www.sbiz.or.kr) |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컨설팅 | 1~3인 창업자, 자영업자 |
창업넷 (www.changupnet.go.kr) | 창업 교육, 창업캠프 정보 | 교육·멘토링 관심자 |
중진공 (www.kosmes.or.kr) | 정책자금 대출·보증 중심 | 창업 3년 이내 기업 |
# TIP
- 이 4곳을 ‘정부 창업 4대 포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각각의 포털이 지원금/대출/교육으로 나뉘어 있으니, 본인의 창업 단계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정책 찾기’ 메뉴로 시작하세요 (K-Startup 기준)
K-Startup은 창업 관련 정부 혜택을 검색할 수 있는 대표 포털이에요.
하지만 처음 들어가면 너무 방대하죠. 그래서 가장 먼저 클릭해야 할 메뉴는 바로 ‘사업공고’ > ‘사업 찾기’
여기서 아래 3가지를 설정하세요.
- 사업 구분: 예비창업 / 창업초기 / 재도전 / R&D 등
- 대상 구분: 개인 / 기업 / 여성 / 청년 / 경력단절 등
- 지역 선택: 본인이 창업하려는 지역
이렇게 하면 수십 개 사업이 → 내게 해당되는 3~5개 사업으로 추려집니다.
연령별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다릅니다
정부는 연령·상황별로 자금을 따로 편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많이 찾는 것보다, ‘나한테 해당되는 조건’부터 파악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연령/상황 | 대표 혜택 예시 |
만 39세 이하 청년 | 청년창업사관학교, 초기창업패키지, 청년희망펀드 |
여성 창업자 | 여성기업 지원사업, 경단녀 창업 지원, 여성벤처 |
중장년 (40대~60대) | 재도전 창업패키지, 소상공인 지원자금 |
장애인/다문화 | 취약계층 창업지원 사업, 보호창업지원금 |
농어촌 창업자 | 귀농창업자금, 농업창업보육센터 |
# TIP
- 이런 키워드로 검색하면 훨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예) “2025 경기도 청년 창업 지원사업”, “인천 경단녀 창업지원금”
모바일 5분 정리: 내 혜택 찾는 루틴
저의 실제 루틴을 공개합니다. 노트북 없이, 스마트폰으로도 혜택을 찾는 법이에요.
- K-Startup 앱 실행 or 모바일 웹 접속
- 상단 메뉴 → [사업공고] 클릭
- [내 지역 + 내 연령대 + 창업단계] 필터 설정
- 최신 사업 공고 상위 5개만 스크린샷
- 카카오톡 or 네이버 메모에 정리 후 메모: “지원금 마감일”
- 하루 10분 이내 완료!
장미의 실전 정리 – ‘내가 받을 수 있는 것만 챙기기’ 전략
창업자 대부분은 이런 생각을 해요.
“뭐가 너무 많아서… 어디부터 봐야 할지 모르겠어요.”
이럴 때 제일 먼저 할 일은, ‘모든 걸 다 받겠다’는 생각을 버리는 것이에요.
현실적으로 창업자는 3~5개 정도의 지원 혜택만 받아도 성공입니다.
♠ 필수 정리 리스트
구분 | 예시 |
① 내가 해당되는 나이/지역/상황은? | 38세 여성, 경기도 거주, 예비창업자 |
② 창업 예정 업종은? | 카페, 디저트 제조, 무점포 판매 등 |
③ 내 창업 시점은 언제인가요? | 2025년 6월 오픈 목표 |
④ 필요한 비용은 어느 항목인가요? | 인테리어 / 마케팅 / 컨설팅 |
이걸 정리한 다음
→ ‘정책 검색’
→ ‘필터링’
→ ‘해당 기관 전화 or 이메일 상담’
→ ‘필요 서류 미리 준비’
이게 장미의 정부혜택 실전 루틴이에요.
마치면서
요즘은 ‘정보도 돈’이라는 말, 정말 실감해요.
어떤 정보를 먼저 발견했느냐에 따라 내가 받을 수 있는 3천만 원이 생기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니까요.
수많은 포털에서 떠다니는 정보 속에서,
내 상황에 맞는 혜택만 뽑아내는 능력, 그게 창업자에게 가장 필요한 ‘정보 소화력’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사업계획서, 이렇게 쓰면 선정률 올라갑니다〉실제로 정부 지원금 받기 위한 서류 실전 가이드를 다뤄볼게요.
장미가 알려주는 창업 준비 시리즈, 이제 실전 서류와 발표까지 함께 가봅시다.
#창업정부지원 #내지원금찾기 #Kstartup활용법 #소상공인지원 #청년창업자금 #경력단절여성창업 #2025창업정보 #정책자금한눈에 #창업실전팁 #장미의창업가이드
'- 현실 생존 전략(경제,창업,재테크,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지원 발표 심사 준비법 - 발표 7분, 붙는 사람은 이렇게 말합니다 (0) | 2025.04.19 |
---|---|
정부지원금 선정률 높이는 사업계획서 작성법 – 진짜 붙는 사람은 이렇게 씁니다 (1) | 2025.04.18 |
정부지원금 + 대출 + 펀딩, 어떻게 조합해야 창업자금이 완성될까? – 창업자금 1억 원, 내 자본 없이 만드는 현실 전략 (2) | 2025.04.17 |
실제 펀딩 성공 사례 3가지 – 투자로 시작한 창업 이야기 (3) | 2025.04.17 |
텍스트에서 현실을 창조하다: OpenAI SORA 심층 분석 및 활용 전략 (2) | 2025.04.16 |